프로필사진
HYEONs
CnC Hom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티스토리 뷰


아무런 이유없이 머리가 어지러울 때가 있다. 어지러움으로 구역질과 구토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조금 쉬면 괜찮다가 또 다시 어지러워 진다. 이런 증상이 하루 이상 진행된다면 전정신경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특히 감기를 앓고 난 후 이런 증상이 있다면 더 가능성 크다. 어지러움은 생활속에 흔히 올 수 있는 증상이지만, 방심하면 큰 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정신경세포염 증상과 치료를 알아보고 대비할수 있도록 하자. 






 | 전정신경염은 왜 생길까? 


전정신경염은 감기에 앓은 후 발병하는 경우가 많아 바이러스가 원인이라 보고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알지 못한다. 무리한 업무나 스트레스로 피로가 쌓여 면역력 저하로 인해 발생할수도 있고, 전정신경 근처에 혈액을 공급하는 소동맥의 폐색과 같은 혈관성 원인도 가능성 있다. 정확한 원인은 없지만 바이러스가 가장 유력하기 때문에 감기 후 전정신경세포염 증상이 발생하면 바로 병원에 진찰 받도록 하자. 




 | 전정신경세포염 증상


전정신경세포염 증상은 걷기가 힘들 정도로 어지러움을 유발한다. 코끼리코를 하고 5바퀴 이상을 돈것 같은 어지러움이 느껴지는데 내가 아닌 바닥과 하늘이 움직이는 느낌이 든다. 또 구역질이나 구토 증상이 유발된다. 이런 어지러움은 적게는 몇시간에서 하루 종일 유지되기도 하며, 그후 증상이 없어 졌더라도 몇일, 몇달 후 다시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치료는 어떻게..?


전정신경세포염 증상이 심할 경우 진정제나 진통제 등의 약을 사용하지만 일반적의 경우 약을 사용하지 않고 치료한다. 시간이 지나면 뇌의 보상 기능을 통해 자연스럽게 치료가 되는 편이다. 하지만 증상이 완치 되었다고 보기 힘들며 언제라도 다시 어지러움이 나타날수 있기 때문에 전정재활치료를 받기를 권한다. 




정리. 전정신경세포염은 나이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긴 힘들지만, 젊은 사람보단 30대 40대의 나이가 좀 있는 사람이 더 많이 발생한다. 대게 1~2주 사이 괜찮아 지는 경우가 많지만 이 나이 대는 사회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아 2주동안 회복을 기다릴수만은 없다. 때문에 신경안정제나 진통제를 계속 복용하게 되는데 오히려 증상이 오래가거나 심해지는 경우도 여럿 있다. 또 갑자기 어지러운 경우엔 이석증이나 다른 질병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꼭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아야 한다. 


일상 생활 중 어지러움이 생긴다면 양쪽눈을 번갈아 보거나, 한쪽으로 누워 한 곳을 응시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댓글